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검정고시대학
- 사회복지사자격증취득방법
- 사회복지사2급
- 학은제
- 인력사무소창업조건
- 취업자격증
- 보육교사자격증
- 학점은행제아동학사
- 학점은행제
- 사회복지사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학점은행제학위
- 온라인학점은행제
- 사회복지사2급자격증
- 주부자격증
- 사회복지사취업
- 사회복지사 자격증
- 유망자격증
- 시간제수업
- 아동학사
- 사회복지사자격증
- 인력사무소
- 사회복지사2급이수과목
- 사회복지사교육원
- 학점은행제사회복지사
- 사회복지사자격증따는법
- 독학학위제
- 여자직업
- 학위취득
- 주부일자리
- Today
- Total
걷고 또 걷고
검정고시 내신 대학가기 힘들다면 다른방법으로! 본문
[ 검정고시 합겨 후 대학교 학위 취득하는 방법! ]
질문: 검정고시 내신이 낮으면 대학가기 어려울까요?
( 23살 남성 박현*님 실제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검정고시를 합격한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대학을 다녀보고 싶은데
검정고시를 거의 턱걸이로 합격해서 내신이 낮습니다
검정고시 내신이 낮으면 대학가기 힘들지
이부분에 대해서 정보를 남겨주셨으면 합니다
답변: 검정고시 합격 후 학점은행제를 이용해보세요~!
(실제 채택률 1위 답변)
검정고시 특벌전형 대학에 지원이 가능하지만, 정원이 적을 뿐만 아니라 경쟁률이 높고,
검정고시 내신(성적), 논술, 면접 등 보기 때문에 진학이 쉬운 편이 아니라서 힘들 거예요
하여 검정고시로 대학가기 보다 학점은행제를 이용한 대학교 학위 취득을 권해드립니다
학점은행제란 사이버로 대학교 졸업 학위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 국가평생 교육제도이며,
출석, 수업, 과제, 중간/기말 시험 등 모든 교육과정이 100% 사이버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이버 수업을 듣고 대학교 졸업학점을 모두 채우면 해당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사이버 과정이라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면 편리하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고,
시간제약이 없어서 24시간 원하는 시간대에 자유롭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장소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대학교 졸업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이에요
또한 독학사시험 및 학점인정자격증으로 학위를 취득하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대학교 한학기 등록금도 안되는 비용으로 저렴하게 대학교 학위를 취득할 수 있어요
여기까지 검정고시 내신 대학가기 질문에 대해서 답변을 남겨드렸는데요,
끝으로 학점은행제 교육원을 소개해드릴테니, 참고하셔서 자세히 알아보세요
소개해드리는 학점은행제 교육원은 교육부에 정식으로 인가를 받은 곳이며,
원활한 과정으로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1:1 담당 학습플래너를 배정하여
학습과정을 마칠 떄 까지 학습관리를 도와줘서 수월하게 취득할 수 있어요
또한 등록금 최대 지원, 장학금 지원을 하고 있어서 비용적인 부담이 적고,
취업에 보탬되는 민간자격증 수강권을 지급해줘서 도움이 많이 되실 겁니다
소개해드리는 학점은행제 교육원 주소는 아래 출처에 남겨드리도록 할게요
현재 이곳에서 학습설계를 도와주고 있으니, 정확한 학습설계를 받으셔서
수월한 과정으로 대학교 졸업 학위를 취득하시길 바랍니다 수고하세요!
[ 등록금 최대 지원받고 저렴하게 대학교 학위 취득하세요~! ]
* 이외에도 학점은행 관련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
학점은행 전문상담원 다이렉트 번호
070 - 4 2 7 8 - 8 5 8 5
'학점은행제 > 학사학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교육원추천 몰리는 곳은 이유가 있다. (0) | 2018.04.01 |
---|---|
전문대 학사 빠르고 쉬운 취득방법_ (0) | 2018.03.31 |
방통대 편입 제적생도 할 수 있습니다. (0) | 2018.03.30 |
검정고시 대학 꼭 정답은 아니다. (0) | 2018.03.29 |
방통대 입학 다시 한번 심사숙고 해보세요. (0) | 2018.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