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걷고 또 걷고

국립묘지안장 대상자에 대해서 궁금하시나요?! 본문

국가유공자

국립묘지안장 대상자에 대해서 궁금하시나요?!

교육서당 2016. 6. 23. 17:30





국립묘지안장 대상자에 대해서 궁금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국립묘지안장에 대해서 정보를 드릴까 합니다. 

국립묘지 같은 경우는 국가유공자인 경우 안장이 되는데요. 

이때 배우자 역시 안장이 될 수 있는 조건이 있습니다. 



또한 다른 경우에도 안장이 될 수 있어요. 

오늘은 이 관련 해서 정보를 드리겠습니다. 

조건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할게요. 





국립묘지별 안장대상자


<국립현충원 - 서울, 대전> 


# 대통령, 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의 직에 있었던 사람


# 국가장법 제2조에 따라 국가장으로 장례된 사람


#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서 사망한 사람


# 현역군인(무관후보생, 전환복무자 포함)과 소집중인 군인 및 군무원(국가유공자 예우법 제74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포함)으로서 사망한 사람 또는 2012.7.1.시행 이전의 국가유공자 예우법 제4조제1항제3호나목과 제5호나목에 해당하는 사람


# 무공훈장 수훈자(태극, 을지, 충무, 화랑, 인헌)


# 장관급 장교로 전역 또는 퇴역한 사람


# 20년 이상 장기복무제대군인(복무기간은 군인연금법 제16조를 준용하되, 사관학교 등 군양성교육기간 포함)

 : 1981.1.1. 이후 사망한 사람만 해당(1981년 이전 사망한 사람은 국립호국원 안장신청 가능)


# 전투에 참가하여 전사 또는 임무수행중 순직한 향토예비군대원 또는 경찰공무원

: 순직 향토예비군대원은 2006.1.30.이후 사망한 사람만 해당

: 순직 경찰공무원은 1982.1.1.이후 사망한 사람만 해당(1982년 이전 사망한 사람으로 국가유공자 예우법에 따른 순직군경으로 등록된 경우는 국립호국원 안장신청 가능)


# 군인, 군무원, 또는 경찰공무원으로 전투나 공무수행중 국가유공자 예우법 제4조제1항의 전상군경, 공상군경, 공상공무원에 따른 상이를 입고 전역 또는 퇴직한 사람


# 화재진압, 인명구조 및 구급업무의 수행 또는 그 현장상황을 가상한 실습훈련중 순직한 소방공무원과 국가유공자 예우법에 따른 상이등급(1급, 2급, 3급)을 받은 소방공무원으로서 사망한 사람

: 1994.9.1. 이후 사망한 사람만 해당


# 6.25참전재일학도의용군인으로서 사망한 사람


# 의사상자 예우법에 따른 의사상자중 안장대상심의위원회에서 안장대상자로 결정된 사람

: 1970.8.4. 이후 사망한 사람만 해당(의상자는 부상등급 1급, 2급, 3급 해당자)


# 산불진화, 교정업무, 재해예방 복구 현장에서 인명구조. 진화. 구난. 방역등의 직무, 대통령등 경호법에 따른  경호업무, 간첩체포등 국가안전보장업무 수행중 사망한 사람 

: 2006.1.30.이후 사망한 사람만 해당


# 국가유공자 예우법에 따른 순직공무원과 공상공무원(1급~3급)중 위험근무수당이 지급되는 위험한 직무수행 중 사망 또는 부상하였다고 안장대상심의위원회가 안장대상자로 결정한 사람 

: 2006.1.30.이후 사망한 사람만 해당


# 국가사회공헌자(외국인 포함)로서 안장대상심의위원회에서 안장대상자로 결정한 사람

: 2006.1.30. 이후 사망한 사람만 해당 

<국립호국원 - 이천, 영천, 임실>


# 국가유공자 예우법에 따른 전몰군경, 전상군경, 공상군경, 순직군경, 무공수훈자


# 6.25전쟁 또는 월남전쟁 참전자


# 10년 이상 장기복무제대군인





 이렇게 입니다. 모든 정보를 알아 봣는데요.

 어떤가요? 해당이 되는 부분이 있나요?!

많은 도움이 되었으리라 믿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도움이 안되었다면

그리고 또 다른 정보가 필요 하다면?!


 여기서 더 궁금한 게 있다면 전문가에게 문의를 하세요. 

문의만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검색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까요. 전화 그리고 온라인 문의로 

궁금한것들 바로 해결하세요. 이번에 포스팅이 많

















Comments